본문 바로가기

흰다리 새우가 ‘대하’로 둔갑? 진짜 대하 구별하는 방법

백설공주 2025. 3. 13.

가을이 오면 자연스럽게 생각나는 해산물이 있습니다. 바로 대하입니다! 🦐 가을철 대표 별미로 손꼽히는 대하는 구워 먹어도, 찜으로 먹어도 정말 맛있죠. 그런데, 혹시 여러분이 먹고 있는 ‘대하’가 진짜 대하가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저도 작년에 ‘대하 축제’에 다녀와서 대하를 실컷 먹고 왔는데, 알고 보니 대하가 아니라 흰다리 새우였더라고요.

사실 주변 마트나 횟집에서 파는 대하는 대부분 흰다리 새우일 가능성이 높아요.

 

하지만 맛도 비슷하고 가격도 훨씬 저렴해서 저는 충분히 만족하면서 먹었어요!

 

그래서 오늘은 대하와 흰다리 새우의 차이점을 직접 경험한 후기를 바탕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두 새우의 차이점을 알고 먹으면 더 맛있게 즐길 수 있을 거예요.

 

1. 대하란?

대하대하

먼저, 대하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큰 새우’라는 뜻이에요. 실제로 크기가 꽤 커서 보통 20cm 이상까지 자라기도 합니다. 자연산 대하는 개체 수가 많지 않고, 어획량이 제한적이어서 가격이 비싼 편이에요.

 

✅ 대하의 특징

  • 크기: 20cm 이상 자라는 대형 새우
  • 색상: 몸통이 회색이나 검은색을 띠며, 다리에 줄무늬가 있음
  • 식감 & 맛: 단단한 육질과 고소한 맛이 특징
  • 활용 요리: 주로 구이, 찜, 튀김 등 고급 요리에 사용

 

예전에 횟집에서 자연산 대하를 먹어본 적이 있는데,
확실히 크기가 크고 살이 꽉 차 있어서 씹는 맛이 아주 좋았어요.

 

살짝 달짝지근한 감칠맛이 있고, 단단한 식감 덕분에 씹을수록 맛이 더 풍부하게 느껴지더라고요.

하지만 가격이 상당해서 자주 먹기는 어려웠어요.

2. 흰다리 새우란?

흰다리새우흰다리새우

흰다리 새우는 양식이 가능한 새우로, 대하보다 크기가 작고 대량 생산이 가능해 가격이 저렴한 편이에요. 그래서 우리가 마트나 시장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대하’는 사실 대부분 흰다리 새우일 가능성이 큽니다.

 

✅ 흰다리 새우의 특징

  • 크기: 보통 15cm 전후로 자람
  • 색상: 투명하거나 연한 회색을 띠고, 다리는 이름처럼 흰색
  • 식감 & 맛: 대하보다 부드럽고 담백한 맛
  • 활용 요리: 구이, 찜, 튀김, 볶음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

저는 솔직히 흰다리 새우가 대하보다 더 익숙한 맛이에요. 마트에서 사 와서 집에서 구워 먹거나 새우튀김으로 만들어 먹기에도 부담 없는 가격이라 자주 먹게 되더라고요.

 

3. 대하 vs. 흰다리 새우, 실제 먹어보니?

최근에 대하와 흰다리 새우를 함께 먹어볼 기회가 있어서 비교해봤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소금구이를 해서 먹었어요. 그 결과는?

 

비교 항목 대하 흰다리 새우
크기 20cm 이상 15cm 내외
색상 회색 또는 검은색, 다리에 줄무늬 투명하거나 연한 회색, 다리는 흰색
식감 단단하고 쫄깃함 부드럽고 촉촉함
감칠맛이 강하고 고소함 담백하고 깔끔한 맛
가격 비싼편 (kg당 3~5만원) 저렴한 편 (kg당 1~2만원)

 

💡 직접 먹어보니: 확실히 대하가 더 쫄깃하고 감칠맛이 강했어요.

하지만 흰다리 새우도 부드러우면서 담백한 맛이 있어서 충분히 맛있었어요!

 

가격 차이를 생각하면, 가성비 좋은 흰다리 새우도 만족스럽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4. 어떤 새우를 선택하면 좋을까?

대하든 흰다리 새우든, 결국은 어떤 요리를 할지에 따라 선택하는 게 좋겠더라고요.

  • 🍤 쫄깃한 식감을 원한다면? 👉 대하 추천!
  • 💰 가성비 좋은 새우를 찾는다면? 👉 흰다리 새우 추천!
  • 🔥 소금구이나 찜을 할 때? 👉 대하 추천!
  • 🍛 튀김이나 볶음 요리를 할 때? 👉 흰다리 새우 추천!

결론

대하는 확실히 고급스럽고 쫄깃한 식감이 매력적이지만,
가격이 비싸서 부담스러울 때가 있어요.

 

반면 흰다리 새우는 가격이 저렴하고 대량 구매가 가능해서 일상적으로 먹기 좋죠.

 

어떤 새우든 상황에 맞게 선택해서 맛있게 즐기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어요.

여러분은 어떤 새우를 더 선호하시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의견도 들려주세요!

댓글